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로봇청소기는 어느새 가전업계 필수 아이템이 됐습니다. <br><br>그런데 이 로봇청소기가 여러분의 일상을 감시하고 도청까지 하고 있다면 어떨 것 같으십니까. <br> <br>일부 제품들의 취약한 보안 문제가 도마에 올랐습니다. <br><br>세계를 보다, 서주희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싱크대에 기대 커피를 마시는 남성. <br> <br>뒷편으로 남성이 있는 사무실 내부가 훤히 보입니다. <br><br>해킹된 로봇 청소기를 통해 원격으로 보이는 모습입니다. <br><br>[현장음] <br>"안녕 션, 나는 너를 보고 있어" <br> <br>호주의 한 매체가 보안 우려가 제기된 중국산 로봇청소기를 해킹하는 실험 영상입니다. <br><br>실험 시작 2시간 만에 보안 연구원이 있는 독일까지 영상이 전송됐습니다. <br><br>지난 8월 세계 최대 컴퓨터 보안 콘퍼런스에서는 130m 떨어진 곳에서도 로봇청소기에 악성 데이터를 보내 해킹할 수 있다는 내용이 발표됐습니다. <br> <br>[브레일린 루드케 / 보안연구원] <br>"(로봇청소기) 지도 ID를 아는 사람은 누구나 원격 수집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" <br> <br>미국에서는 최근, 해킹된 중국산 로봇 청소기가 인종차별적인 욕설을 내뱉는 일이 발생했고, 2년 전에는 미국산 로봇청소기가 촬영한 사진이 SNS를 통해 확산됐는데, 화장실을 사용하는 여성의 모습이 담겨있어 충격을 줬습니다. <br><br>카메라, 마이크가 없다면 이런 사생활 노출 우려가 없을지, 카이스트 연구진과 취재진이 직접 실험을 해봤습니다. <br> <br>하지만, 로봇청소기에 달린 레이더 센서만으로도 목소리 진동을 인식해 카드 번호 등 예민한 개인정보를 도청할 수 있었습니다.<br> <br>[현장음] <br>"2024" <br> <br>지금 보고 있는 TV채널이 무엇인지도 알아낼 수도 있습니다. <br><br>[한준 / 카이스트 전산학부 교수] <br>"(로봇청소기) 레이저가 물체에 맞닿아서 다시 반사돼서 돌아올 때, 제 음성을 아주 미세하게나마 실어서 로봇 청소기로 다시 돌아오게 됩니다. AI를 돌려서 분석을 하게 되면 (해킹) 피해자의 음성을 추출할 수 있다" <br> <br>사용자가 움직이는 동선을 따라 풍향을 조절하는 에어컨이나, 보관된 식재료를 분석해 조리법을 제안하는 냉장고 등 AI 가전이 우리 삶에 깊숙이 들어오고 있는데요, 보안 우려도 함께 커지면서, 스마트홈 보안시장 규모도 5년 뒤엔 두 배 이상 커질 전망입니다.<br> <br>미국에서는 보안문제가 해결된 사물인터넷 제품에 '정부 인증 마크'를 부착하는 제도가 시행됐고, 업체들은 데이터 보안 전담팀을 꾸리는 등 보안 강화에 나서고 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, 서주희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래범 <br>영상편집 : OOO<br /><br /><br />서주희 기자 juicy12@ichannela.com